매일 대중교통으로
출근하는 직장인, 학생, 등
교통비가 부담이 아닐 수 없는데요.
그래도 알뜰 교통카드가 있어
사용하는 분들이 많으실 거예요.
하지만
알뜰 교통카드가 사라진다는 소식을
들었답니다..
그래서 오늘은
알뜰 교통카드대신
교통비 절감을 위해 가입할 수 있는
K패스에 대해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알아보시죠!
K패스란?
국민들의 대중교통비 부담 완화를 위해
2024년 5월 도입하는 제도로
대중교통비의 20~53%를
절감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K 패스
K 패스 핵심요약
[K 패스 가입대상]
전국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누구나 가능.
[K 패스 정리요약]
인구 10만 명인 지역에서 실행됩니다.
일부 지자체를 제외하면
거의 모든 지역에서 가능합니다.
한 달에 8일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가입.
이동거리가 아닌 지출금액의 일정비율을 환급해 줌.
최소 20%~최대 53% 교통비 할인 가능.
(연 17~44만 원까지 교통비 절감이 가능함.)
예를 들어
매달 대중교통비로 평균 7만 원을 지출한다면
일반인은 1만 4000원,
청년은 2만 1000원,
저소득층은 3만 7000원을 아낄 수 있습니다.
카드사의 추가 할인 혜택까지 이용가능합니다.
K패스 장점과 기후동행카드 비교
[K 패스 가입대상]
1. 알뜰 교통카드와 비교하면 사용이 간편합니다.
2. GTX, 빨간 버스 등에서도 이용 가능합니다.
일반 시내버스와 지하철 외에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A,
광역버스 등 비용이 많이 드는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도 K-패스 사용이 가능합니다.
3. 장거리 출퇴근자도 이용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서울로 출근하는 경기도 주민 이용가능)
4. 내가 사용한 만큼 환급이 됩니다.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시내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
(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을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K패스 가입 방법]
5월 1일 공식 누리집 또는 앱에서 신청가능합니다.
K-패스 누리집(korea-pass.kr)이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11개 카드사의 누리집을 통해
교통카드 상품을 골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누리집 | 정부/지자체 누리집 | 기관 정보 | 정부 24 (gov.kr)
누리집 | 정부/지자체 누리집 | 기관 정보 | 정부24
접속량이 많아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잠시 후 다시 접속해주세요
www.gov.kr
-
알뜰 교통카드 소지자는
별도의 카드 재발급 없이
기존 교통카드로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5월에 이전 신청가능합니다.
-
카드사마다 혜택이 다르기 때문에
자세히 혜택을 알아보고
나에게 가장 이익인 카드로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
신용카드 리스트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마무리
오늘은 교통카드 K패스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4월 30일 이후로
알뜰교통카드는 없어지기 때문에
꼭 5월 1일에
새로운 전국 교통카드
K패스를 신청하셔서
교통비 절감하여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돈 정보무리 > 정부, 은행, 보험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사없는 병원 현실로. 대학병원 셧다운제 예고! (50) | 2024.04.25 |
---|---|
5월 부터 병원 마스크 착용 의무해제 됩니다! (60) | 2024.04.22 |
2024년 7월부터 바뀌는 전세 계약 개정 내용!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 사항. (50) | 2024.04.10 |
ISA 계좌에 대한 총 정리! 꼭 가입해야 하는 이유 (61) | 2024.03.31 |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 총 정리! 2만 5천명 선발예정! (53) | 2024.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