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음식이 다양해진 만큼
소비자가 음식을 비교해 골라 먹어야 하고
영양을 직접 따져가며 섭취해야 하는데요.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꼭 피해야 하는 음식들이 있습니다.
이것만 피해도
건강을 챙길 수 있는데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당장 버려야 하는 음식 TOP6
1. 식물성오일
(옥수수유, 콩기름, 해바라기씨유, 카놀라유)
보통 식당에서나 과자 등
기름이 들어간 음식들은
대부분 저렴한 식물성 오일을 사용합니다.
오일 자체가 나쁘다기보단
너무 많은 오메가 6을 먹고 있다는 것이
몸에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죠.
특히 식물성오일에 함유된
오메가 6은 우리 몸에 들어갔을 때
염증을 일으키고,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트랜스지방이 가득하기 때문에
암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가정에서 만큼은
오메가 3와 9가 함유되어 있는
코코넛오일, 아보카도오일, 올리브유를
사용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2. 우유, 저지방 유제품
옛날처럼
요즘 만들어진 우유는
아무런 영양가가 없다고 밝혀졌으며
골다공증에는 오히려 더 좋지 않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특히 우유에는
카세인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성분은 장벽 내에 붙어서 다른 식품의 영양소가
흡수되는 것을 방해합니다.
또 저지방우유에는
화학적인 첨가물이 들어가며
한번 더 가공을 거치게 되므로
피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우유나 저지방우유 대신
첨가물이 적은 두유나 오트우유,
아몬드 우유 등으로 대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술
술은 뇌세포를 죽이는 음식으로
섭취하는 만큼 뇌세포를 죽이며,
술을 마시면 간이 독소를 처리하느라
바쁘다 보니 해소하지 못하고
지방으로 보내버립니다.
그렇게 살이 찌고
체지방이 늘게 되죠.
술을 끊는 것이 가장 좋지만
한 번에 끊는 것이 어렵다면
횟수를 줄이면서
적게 마시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4. 과일 주스
시중에 판매되는 과일주스는
과일 함유량이 낮고 설탕이 많이 들어가
혈당을 급속도로 올리게 되고
인슐린 분비가 많아지게 됩니다.
이것이 반복되면
인슐린 저항성이 생겨 당뇨병을 유발합니다.
과일 원재료로 섭취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집에서 신선한 재료로
첨가물 없이 만들어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5. 가공육
가공육은 신선하게 보이기 위해
색소를 넣고, 오래 유지하기 위해
방부제등 여러 첨가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건강에 최악인 식품입니다.
그래서 부패가 되지 않고
유통기한도 몇 년씩 되는 것이죠.
특히 발암물질이 많이 들어있어
피해 주시는 것이 좋은데요.
섭취를 하더라도 잦은 섭취는
꼭 삼가주시 길 바랍니다.
6. 초가공식품
(햄, 소시지, 통조림, 패스트푸드,
마가린, 아이스크림 등)
초가공식품은 종류가 다양한데요.
이 모든 초가공식품의 공통점은
방부제와 첨가물의 다량함유로
유통기한이 길고
부패되지 않는다는 것인데요.
또 탄수화물 위주며,
식물성오일, 설탕, 색소 등
첨가물이 들어있어
가장 몸에 좋지 않고
암 증식을 돕는 음식입니다.
마치며
오늘은
당장 버려야 하는 음식 TOP6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저도 물론
너무 좋아하는 음식들이지만
건강을 위해 줄이거나
대체식품으로 섭취하고 있어요.
왜 맛있는 음식들은
몸에 안 좋을까요? ㅠㅠ
그래도 건강을 위해
노력해야겠어요.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의사들도 피한다는 최악의 음식 TOP 10 (tistory.com)
의사들도 피한다는 최악의 음식 TOP 10
세상에는 맛있는 음식이 너무 많고 다양하기 때문에 먹는 즐거움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대체로 맛있는 음식들은 몸에 해롭다고 알려져 있는 것들이 많은데요. 그럼 건강을 위해 의사들도 피
rathemoon10.tistory.com
'건강무리 > 건강상식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병통치약 걷기의 효능! 이유 없이 피곤하다면 걸으세요. (15) | 2024.03.25 |
---|---|
봄 환절기 비염 약 추천! 콧물, 재채기, 축농증 코막힘 없애자! (63) | 2024.03.23 |
면역력 강화! 최고의 조합 모닝 건강 주스 만드는 방법 (찐 후기) (50) | 2024.03.19 |
잠을 많이 자면 생기는 부작용 모음! 많이 자도 문제다 (52) | 2024.03.18 |
요즘 2030세대는 저속노화 식단으로 건강관리해요! 건강트렌드 (71) | 2024.03.16 |